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2

DNS 라운드로빈 vs 로드밸런싱 현대의 웹 환경에서는 대량의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분산하고, 고가용성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가 바로 DNS 라운드로빈 방식과 로드밸런싱입니다. 두 기술 모두 서버의 부하를 분산시켜 효율적인 트래픽 처리를 목표로 하지만, 구현 방식과 성능, 안정성 측면에서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DNS 라운드로빈과 로드밸런싱을 방식, 성능, 안정성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여 각각의 특성과 사용 사례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방식: DNS 라운드로빈과 로드밸런싱의 구조 비교DNS 라운드로빈 방식은 매우 단순한 트래픽 분산 기법입니다. 클라이언트가 특정 도메인을 요청하면 DNS 서버는 동일한 도메인 이름에 대해 등록된 여러 IP 주소 중 .. 2025. 3. 29.
시스템 관리자를 위한 w 명령어 (프로세스, 유저, 트렌드) 리눅스 서버를 운영하거나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자에게 있어 실시간 사용자 상태와 시스템 부하를 한눈에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에 접속해 작업을 수행하는 환경에서는 각 유저의 세션, 실행 중인 프로세스, 시스템 부하 상태 등을 확인하는 기능이 필수적입니다. 이때 유용하게 활용되는 명령어가 바로 w입니다. w 명령어는 로그인한 사용자 정보와 현재 작업 상태, 시스템 부하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실시간 모니터링 툴입니다. 이 글에서는 시스템 관리자 입장에서 w 명령어의 기능, 출력 항목, 활용 팁 등을 상세히 안내합니다.로그인 유저 실시간 확인 - 프로세스 모니터링w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일반적인 who .. 2025. 3. 29.
직장인을 위한 생성형AI (보고서, 이메일, 일정관리) 직장인들이 매일 반복적으로 처리하는 업무는 생각보다 많습니다. 보고서 작성, 이메일 응답, 회의 일정 조율 등은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 일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반복적인 업무를 도와주는 개인용 생성형 AI가 최근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텍스트 기반 AI는 다양한 직장 업무에서 효율성을 높여주고, 실수를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직장인들에게 꼭 필요한 생성형 AI를 기능별로 추천하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자세히 소개합니다.보고서 자동 작성 도와주는 생성형AI보고서는 직장인에게 가장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요구하는 업무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생성형 AI의 도움을 받으면 기획 단계부터 초안 작성, 수정, 요약까지 상당 부분 자동화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OpenAI의 Ch.. 2025. 3. 26.
리눅스의 다양한 세계: 배포판들과 그 특징 리눅스는 단일 운영체제가 아닌 다양한 배포판(Distribution)으로 존재하는 오픈소스 운영체제입니다. 1991년 리누스 토르발스가 처음 커널을 개발한 이후, 전 세계의 개발자들이 참여하여 다양한 목적과 철학을 가진 수백 가지의 리눅스 배포판이 탄생했습니다. 이러한 다양성은 리눅스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이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최적화된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게 해줍니다.주요 리눅스 계열과 배포판데비안 계열데비안(Debian)은 가장 오래된 리눅스 배포판 중 하나로, 안정성과 보안성을 중시합니다. APT(Advanced Package Tool)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며, 많은 인기 있는 배포판의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우분투(Ubuntu)**는 데비안을 기반으로 하지만 사용자 친화적인 인.. 2025. 3. 20.
최신 AI 개발용 GPU 서버 추천 & 비용 분석 AI 개발에 최적화된 GPU 서버를 선택하는 것은 연구 및 서비스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본 글에서는 최신 AI 개발용 GPU 서버의 종류와 추천 모델을 소개하고, 각 서버의 특징 및 비용을 상세히 분석합니다. 클라우드 GPU 서버와 온프레미스 GPU 서버의 장단점도 비교하여, 여러분의 프로젝트에 적합한 GPU 서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AI 개발에 적합한 GPU 서버 종류AI 모델을 훈련하고 배포하는 데 적합한 GPU 서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온프레미스(자체 구축) GPU 서버온프레미스 GPU 서버는 직접 하드웨어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연구소, 기업, 대학 등 장기간 고성능 컴퓨팅이 필요한 경우 적합합니다.NVIDIA A100: 대규모 AI 모델 훈.. 2025. 3. 18.
kafka 와 solace 의 주요 차이점 Apache Kafka와 Solace PubSub+는 둘 다 메시징 및 스트리밍 플랫폼이지만, 아키텍처와 기능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1. 아키텍처 및 메시징 모델비교 항목KafkaSolace PubSub+ 메시징 패턴주로 Pub/Sub (Publisher-Subscriber) 및 메시지 큐Pub/Sub, Request/Reply, Message Queue, Event Mesh메시지 저장디스크 기반(로그 기반 스토리지, 오랜 기간 보관 가능)기본적으로 인메모리 저장, 필요 시 디스크 저장메시지 브로커분산형 브로커(Clustered Distributed Log)단일 브로커 및 메시지 라우터 기반확장성분산형 아키텍처로 쉽게 확장 가능하드웨어적 확장성과 네트워크 기반 .. 2025. 3. 17.